Google 회사가 가진 강점을 총동원 한 클라우드 게임 플랫폼 'STADIA "
- 데이터 센터에서는 AMD와 공동 개발 한 전용 GPU가 동작
미국 Google은 Chrome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클라우드 게임 기술 "STADIA '을 발표했다.
Stadia는 Chrome 브라우저가 동작하는 PC, Chromebook, 스마트 폰 등의 외, Chrome 지원 또는 Chromecast를 연결 한 TV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동작한다. 게임 자체는 Google 데이터 센터의 시스템에서 렌더링 처리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측에 강력한 GPU는 불필요해진다.
클라우드 게임 기술은 지금까지도 다수의 기업이 제공하고 왔지만, STADIA는 Google이 가지는 다양한 장점을 총동원 한 것으로되어있다. 또한 STADIA에서는 게임 플레이어, 리머 등의 콘텐츠 크리에이터, 그리고 게임 개발자가 같은 플랫폼에서 활동할 수있는 틀을 구축하고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각 게임은 Google이 STADIA 전용으로 개발 한 데이터 센터의 시스템에서 동작한다. 이 기계는 AMD와 공동 개발 한 10.7TFLOPS 성능의 GPU가 탑재되어있다. 이 성능은 PlayStation 4와 Xbox One을 넘는 것으로, 4K HDR 60p에서 게임을 동작시킬 수 있지만, STADIA GPU를 멀티 GPU로 움직이게 할 수 있으며, 이미 8K의 동작도 시야에 넣고있다.
[사과와 정정] 초 출시에 GPU 성능을 10.7GFLOPS하고있었습니다 만, 제대로 10.7TFLOS입니다. 사과 해 정정하겠습니다.
STADIA 데이터 센터는 각국의 공급자와 전용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낮은 지연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해킹이나 치트도 불가능하다고한다.
STADIA 데이터 센터의 자원을 사용하여 개발자는 게임 개발도 가능하다. 또한 자기 부담으로 STADIA 데이터 센터를 구축 할 수 있으며, 로컬 개발을위한 STADIA 데스크탑 컴퓨터도 준비된다. 이미 미들웨어로 Unity와 Unreal Engine이 STADIA에 대한 대응을 표명하고있어 기존의 게임도 적은 노력으로 이식 할 수있다.
클라우드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설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개발자는 예를 들어 YouTube의 예고 동영상에 "PLAY"버튼을 붙여 넣을 수 있으며, 플레이어는 그 버튼을 클릭하여 5 초 이내에 게임을 시작할 수있다.
플레이어 측 으로서는 장치를 불문하고 플레이 할 수있을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스마트 폰에서 플레이하던 것을 잠시 중단하고 PC에서 로그인하면 즉시 PC에서이어서 플레이 할 수있는 동기 시스템을 탑재. 또한 대형 TV 등의 경우는 화면을 분할하여 여러 사람이 멀티 수도 있지만, 플레이어마다 할당 된 STADIA GPU를 사용하기 때문에 성능 저하가 없다.
장치에 따라 키보드 + 마우스 및 게임 컨트롤러, 터치 조작 등으로 플레이 할 수 있지만, Google은 전용 STADIA 컨트롤러도 개발했다. 얼핏보기에는 일반적인 게임 컨트롤러이지만, Wi-Fi 기능을 내장하고이 컨트롤러 자체가 STADIA 데이터 센터에 직결되어 플레이하는 구조로되어있다.
또한 STADIA 컨트롤러는 자신의 캡처 버튼과 Google Assistant 버튼이 탑재된다. 캡처 버튼을 누르면 즉시 YouTube에 전달있다. YouTube와의 강력한 연동도 무기가되고 배달들은 게임을 전달하면서 채팅 란을 통해 시청자를 게임에 초대 할 수있다. 게임 배달도 4K에 대응한다.
STADIA에서 무척 특징적인 것이 "State Share '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STADIA 게임에서는 예를 들어, 아이템과 라이프 스테이지 등 플레이어가 플레이하고있는 시점의 모든 정보를 모든 장소에서 저장하고 공유 할 수있다. State Share를 사용하여 해당 정보에 대한 링크가 단축 URL에 기록된다. 플레이어가이 URL을 YouTube 나 SNS에 공유하면 그 플레이어가 플레이하고 있었던 것과 완전히 같은 상황을 다른 플레이어도 재현 할 수있다.
그리고 여기에는 장단점 것 같지만, 게임에 고민했을 때는, Google Assistant를 호출 넘어갈위한 팁을 가르쳐달라고 할 수도있다.
STADIA는 올해에도 북미, 유럽에서 서비스를 시작한다.
https://pc.watch.impress.co.jp/docs/news/1175603.html
“4K 60fps HGR” 구글의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 스태디아…대역폭이 관건
기조연설에서 구글이 제시한 슬로건은 “모드를 위한 게임 플랫폼 구축”이다. 데스크톱부터 노트북, 스마트폰, 어느 것이라고 스태디아를 이용할 수 있다.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가 약속하는 미래이기도 하다.
현장 시연에서 이런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같은 어쌔신 크리드 : 오디세이 저장 파일을 몇 초 만에 노트북에서 스마트폰으로, 데스크톱과 TV로 옮겨가며 플레이했다. 크롬 브라우저와 강력한 인터넷 연결만 있다면, 스태디아를 이용할 준비는 마친 셈이다. 게다가 구글은 이 게임의 트레일러 영상을 본 사람이 ‘지금 플레이하기’ 버튼을 눌러 몇 초 만에 해당 게임을 플레이하는 모습도 시연했다. 설치나 패치 등 최신 게임과 관련된 어떤 수고도 필요없다.
사실 이런 아이디어는 온라이브부터 소니까지 여러 업체가 시도한 것이다. 하지만 구글은 여러 가지 이점이 있다. 우선 전 세계 최고의 서버 인프라로 언제나 데이터센터에서 너무 멀지 않은 곳에 게이머가 있으며, 수십억 대의 디바이스에 걸친 설치 기반을 가지고 있다.
4K HDR 60fps를 지원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스태디아는 이런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 개념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갔다. 지난 해 프로젝트 스트림 테스트는 어쌔신 크리드 오디세이를 1080p 60fps로 플레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충분히 인상적이었다. 하지만 정식 출시 시점에서 스태디아는 해상도를 4K로 올리고, HDR과 서라운드 사운드 데이터도 함께 스트리밍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이론적으로는 자체 게임용 PC에서 플레이하는 것과 차이점을 찾아내기 어렵다.실제로는 훨씬 더 좋은 환경이 된다. 이것이 게임 스트리밍이 제시하는 이상이자 ‘모두를 위한 게임 플랫폼 구축’이란 구글 강령의 핵심이다. 현재 AAA급 게임을 위한 고성능 PC를 마련하려면 1,500달러 이상이 든다. 스태디아에서는 구글 데이터센터가 힘든 작업을 처리하고, 이론적으로 사용자는 극대화된 그래픽 경험을 스마트폰이나 보급형 노트북에서 즐기기만 하면 된다. 또한 별도의 캡처 카드 없이도 이를 4K 해상도로 유튜브에 스트리밍할 수 있다. 스태디아에서는 모든 사용자가 최고급 PC를 사용하는 것이다.
게임 개발자는 전통적인 하드웨어의 압박으로부터 자유로워진다. 구글은 수천 명이 참여하는 배틀 로얄 게임의 가능성도 언급했는데, 일단 사용자가 로컬 시스템과 로컬 인터넷 접속에서 자유로워지면 가능한 일이다. 또한 구글은 카우치 코옵(Couch Co-op)의 부활에 대해서도 언급했는데, 이제 개발사는 동일한 콘솔 하드웨어에서 한 게임의 두 가지 변형 버전을 구동하는 데 제약을 받지 않는다.
시각적인 개선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몇 해 전 이런 아이디어를 구현한 적이 있는데, 크랙다운 3(Crackdown 3)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의 성능을 이용해 도시급 파괴를 시뮬레이션한 바 있다. 구글 역시 스태디아에서 같은 이야기를 하며, 로컬 머신과 자사 플랫폼의 현실적인 물 시뮬레이션을 시연했다. 인상적인 부분이었다.
인터넷 접속 환경과 즉각성의 문제
문제는 스트리밍이란 사용자의 인터넷 접속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필자는 샌프란시스코에 살아서 이런 문제를 자주 겪지 않는다. 베이 지역에는 수많은 데이터센터가 있기 때문에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지연이 그리 나쁘지 않다. 기가비트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구글 스태디아는 이런 환경에서 가장 잘 동작할 것이다.하지만 게이머가 주요 대도시 지역을 벗어난 곳에서 살고 있다면, 스태디아가 얼마나 매끄럽게 동작할지 확신할 수 없다. 구글은 자사의 인프라를 내세웠는데, 19개 리전, 58개 존, 200개 이상 국가에 7,500개의 에지 노드를 보유하고 있다. 사용자가 구글 서버 팜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지 않기를 고대해야 한다.
즉각성의 문제도 있다. 과연 로컬 PC에서 플레이하는 것 같은 느낌일 것인가? 4K 60fps 스트리밍과 HDR, 서라운드 사운드를 온전히 즐길 수 있을 것인가? 높은 수준의 대전 게임이나 1인칭 슈팅 게임도 충분히 즐길 수 있을 것인가? 매우 중요한 질문이지만, 스태디아의 정식 서비스가 시작되기 전에는 답을 알 수 없다. 구글은 id 소프트웨어를 끌어들여 둠 이터널이 스태디아를 통해 제공될 것이라고 자랑했는데, 기대할만한 일이다. 하지만 이 역시 사용자의 인터넷 환경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데이터 제한이 있는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한다면, 이 역시 우려 사항이다. 필자는 매월 수백 시간 게임을 즐기는데, 또하나의 놀이인 스트리밍은 필자의 1테라바이트 제한에 적지 않은 부담을 준다. 스팀의 스트리밍 서비스와는 달리 스태디아는 게임을 설치하는 옵션이 없다. 항상 스트리밍을 이용해야 하고, 구글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판매되는 게임은 좀 더 전통적인 버전으로 판매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이런 우려사항에도 불구하고 구글 스태디아는 기대를 걸기에 충분하다. 정식 서비스가 발표처럼 제대로 된다면, 매우 흥미로운 방식으로 게임 업계를 뒤흔들 수 있을 것이다. 이미 마이크로소프트와 소니, 닌텐도 3사는 위협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조만간 자사의 프로젝트 엑스클라우드 스트리밍을 솔루션을 공개할 예정인데, 빠르면 E3에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컨트롤러와 구글 게임으로 확대
스태디아는 전용 하드웨어가 필요 없으며 기존 마우스와 키보드, 아니면 엑스박스나 플레이스테이션 컨트롤러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구글은 스태디아 전용 컨트롤러를 만들었는데, 지난 주 트위터를 통해 떠돌던 모형과 거의 비슷한 모습이다. 물론 평가는 실물을 사용해 봐야 알 수 있을 것이다.최근 구글 부사장으로 합류한 게임 업계 베테랑 제이드 레이몬드는 무대에 올라 구글이 자체 게임 개발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머지 않아 스태디아 독점 게임도 출시된다는 의미가 된다. 스태디아는 콘솔 게임기 플랫폼은 아니지만, 콘솔 게임기의 사고방식이 강하게 살아 있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출시 시기에 대해 구글은 미국과 대부분 유럽 지역에서 2019년 이내에 출시된다고 밝혔다. 구글이 올해 여름에 더 많은 정보를 공개할 것이라고 언급한 만큼 2019년 하반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올해 연말에는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이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를 놓고 맞대결을 벌이는 모습을 볼 수도 있을 것이다. editor@itworld.co.kr
원문보기:
http://www.itworld.co.kr/news/119093#csidxfa13c588eae1d7da6f9b42d3cf39dd8
'기타제품 및 SW'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msung Galaxy Buds vs. Icon X (2018) : 업그레이드해야합니까? (0) | 2019.03.28 |
---|---|
애플의 애플 AirPods 2 세대 국가 은행의 경험 상자 밖에서 (0) | 2019.03.28 |
Google+ 계정 및 커뮤니티를 MeWe로 가져 오는 방법 (0) | 2019.03.20 |
Taihe Gemini 휴대용 1080p 터치 스크린 모니터 미리보기 (0) | 2019.03.19 |
Jetson Nano, AI 컴퓨팅을 모든 사람들에게 제공 (0) | 2019.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