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셋탑 진행 사항 150930 게시글 목록


"그것"셋탑 Test 리뷰 1 (작성완료)


[EddyLab] "그것"셋탑 Beta test 기기 - unpacking 2 (작성완료 !!!)

지금까지 주로 해외 안드로이드 OTT셋탑을 Test 리뷰하였습니다만, 
금번에는 국내 중소기업 회사에서 개발한 제품으로서, 
안드로이드 셋탑의 최종 종결자인 방송튜너 내장 녹화셋탑 제품을 
구입하여 제품 Test 리뷰글을 올립니다. 

이 U4 PVR 셋탑제품의 프로젝트 코드네임이 "그것"셋탑이고, 
닉네임은 "효도셋탑"입니다.  ^^

"그것"셋탑 제품의 장점을 설명드리면,

1. 지상파 ATSC Tuner 1개, 위성 DVB-S2 Tuner 1개를 내장한 안드로이드 셋탑입니다.. 

(주1) 케이블방송도 지원합니다. IPTV방송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주2) 위성 DVB-S2는 무궁화 5호, 6호를 무료시청가능합니다.
(주3) ATSC Tuner 2개 2튜너 제품은 이후 추가 개발 준비 중이라고 합니다.

이 제품의 사용목적은 Cord cutting이며, 
무료방송을 기반으로 시청가능한 모든 방송을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2. TVHeadend 미들웨어가 탑재되어 있고, Front End 2개의 튜너와 연동되어 있어서, DVR(PVR) 녹화 및 EPG 예약녹화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3. 안드로이드OS 기반에 방송 시청에 편리한 자체 Java 런처를 내장하고 있습니다.  
닉네임이 "효도셋탑"인 이유는 간편하고, 직관적인 UI설계로, 어르신들이 쉽게 시청, 녹화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기본적인 안드로이드 셋탑과 같이 편리한 앱을 설치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4. 하이실리콘 칩셋기반으로 4K@30fps 8bit@HEVC까지를 HW디코딩으로 재생할 수 있습니다. 
오디오는 Dolby인증을 받았고, Dolby 트루HD 7.1CH까지 지원합니다. 
Kodi 15.2버젼에서 녹화 TS파일이 원활하게 재생되고 있습니다. 


5. 스마트폰으로 외부에서 예약녹화가 가능하고, 다른 스마트폰, 태블릿PC 기기들에서도 스트리밍으로 당겨서,  언제, 어디서든 실시간 방송(댁내)시청 가능하게 되어 있습니다.  

(주4) 외부에서는 현재 1080P로 실시간 방송 시청이 가능합니다만,
조만간 트랜스코딩기술로 외부에서 720P로 실시간 방송 시청이 가능 해 질 예정입니다. 
(주5) 댁내의 인터넷 속도가 비대칭으로, upload속도에 따라서 제한적으로 외부에서 1080P로 시청을 못하실 수도 있습니다. 


결론) 1080P@60fps 8bit 재생가능 안드로이드 셋탑 기준으로서, 
1. 화질성능이 탁월하고,
2. Kodi와의 궁합이 좋으며, 
3. 녹화가 지원 되고,
4. 언제, 어디서든지 실시간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궁극의 제품이라고 판단합니다.

물론, 4K@60fps 10bit@HEVC 4:2:0 BT2020 재생 + Game의 
궁극의 셋탑기기는 쉴드 안드로이드TV 콘솔 ("쉴드셋탑")입니다만,
1080P화질과 녹화기능만은 U4 PVR셋탑이 우위에 있다고 판단합니다.  








안녕하십니까 ?  EddyLab입니다..


일단 제가 다른 분들 보다 먼저 "그것"셋탑을 받아서 unpacking을 하였습니다. ^^

앞서 이야기 드린 것과 같이 박스 포장은 무지(인쇄가 없는 화이트 박스)사양으로
들어 왔습니다..  






박스에는 충격에 영향이 없도록 가지런 하게 제품이 포장 되어져 있습니다.





"그것"셋탑 메인 본체 1개, 리모콘 1개, 악세서리 박스 1개 입니다.





악세서리 박스를 개봉해 보면,

HDMI 케이블 1개, RCA 케이블 1개, 
AAA건전지 2개, KC인증 파워 어댑터 1개 가 포장 되어져 있습니다.





KC인증 파워 어댑터 Spec은
12V 1.5A입니다.  
플러그는 KC인증용이라서 한국형 제품입니다.





U4 PVR셋탑 메인 박스를 풀어보니,

실리카겔 팩이 보이네요 ^^.  배송 중에 습도를 고려해서 넣어 주신 것 같습니다. ^^
KC인증 라벨도 제품 하단에 붙어져 있습니다.

뒷면사진에서 왼쪽 하단의 스크류 위에 작은 스위치가 있습니다.
이는 리커버리 모드 스위치 입니다.  이후에 FW업그레이드시에 사용하시게 됩니다.






저야 메일 Test 하고 있는 제품이디고 합니다만,
무광택 제품이라서 깔끔합니다...  
TV 앞에 올려 놓아도, 시각적으로 미스매칭되지는 않습니다.





U4 PVR셋탑 지원 포트 입니다.(왼쪽부터)

1. USB 2.0 : 1개
2. USB 3.0 : 1개
3. 마이크로 SD : 1개
4. AV단자 1개 : RCA 잭을 꼽으시면 됩니다. 
5. IR/LED 1개 : 별도의 채널번호 디스플레이 용도 입니다만, 
Beta test기기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U4 PVR셋탑 지원 커넥터 입니다. (왼쪽부터)

1. ANT IN : 지상파 안테나 커넥터 잭
2. LNB IN : 위성 안테나 커넥터 잭
3. COAXIAL : SPDIF AV리시버 
4. DV-OUT : HDMI 커넥터
5. 이더넷포트 : 
6. 전원커넥터 : 12V, 1.5A





전에 블루님이 "그것"셋탑 PCBA 사진을 찍어서 올려 주신적이 있었습니다만,
Unpacking에서 당연히 분해를 해 봐야 겠죠 ^^ 








메인 보드 사진입니다.

뒷쪽 PCBA를 보려면, 튜너 2개의 넛트를 풀러야 해서, 혼자 들여다 보았는데
뒷면 부품 설계는 없는 보드입니다. 






전면에는 4자리 디지 디스플레이가 있습니다.
이 디스플레이는 현재 동작 상태와 시간을 알려 주게 됩니다.
LED는 Red와 Green이 각각 1개씩 있습니다.
전원관련 동작 상태를 알려 주게 됩니다.  

PCB아래쪽에 리커버리 스위치가 보이는 군요 ^^





CPU 칩셋 사진을 찍으로려고 했는데, 방열판이 완전 본딩 상태로 되어 있네요 ㅠ.ㅠ
RAM은 하이닉스 메모리를 사용하였습니다. (512M * 2EA)
PCB 디자인은 2015년 8월 5일 버젼이고, HW 0.4버젼이네요..
아래쪽에 하얀 커넥터가 있는데, 뭘까요 ???  ^^






여기는 WiFi / BT 모듈이 빠진 상태로 되어 있고, 
윗쪽에 WiFi 커넥터 자리입니다.
튜닝을 원하시는 분들은 WiFi / BT 모듈과 WiFi 커넥터를 구입하여 솔더링을 하시면 됩니다. ^^






RF 튜너들 입니다.  지상파 ATSC 튜너와 위성 DVB-S2튜너입니다.
이후에 추가 개발이 완료되면, 여기에 지상파 ATSC 튜너 2개 모듈을 달아 보고 싶습니다만.....

아쉽게도 메인 PCB를 재 수정해야 하는 큰 공사(?)가 있어서 ㅠ.ㅠ 





하이실리콘 디모듈레이터 칩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원본 출처 : http://cafe.naver.com/mk802/13705





집에서 간이로 셋탑 Test 환경을 구축하였습니다.

아래쪽에 태블릿PC를 이용하여서 튜너 셋탑 방송화면을 미러링으로 원격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주)이 U4 PVR 제품 사진은 이전 Test버젼으로 WiFi내장 제품이기 때문에

WiFi 안테나가 붙어 있습니다만, 정식제품에는 WiFi 와 BT는 지정된 호환성 동글을 사용하여

이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참조) WiFi / BT 호환성 동글 List

http://cafe.naver.com/mk802/13125




전원 ON 상태에서 최초의 메인 UI화면입니다.
이 UI는 자바로 구성되어져 있고, 런처입니다. 
이 런처 이름은 eOn (이온) 런처입니다.  일반 안드로이드 런처와 다릅니다.

최초 메인 UI를 보시면, 상단의 정보바와 하단의 가상상태바가 전혀 안보이고,
앞으로도 보이지 않습니다.. ^^;;  그러므로, 컨탠츠 시청시 Full 화면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왼쪽 상단에 "채널 정보 없음"이 표기 되어져 있습니다.
이는 아직 튜너 채널 스캔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화면이 뜨지 않은 상태 입니다.
이후에 튜너 채널 스캔이 완료 되면, 왼쪽 상단에는 방송시청 화면이 올라오게 됩니다.

단, Home이나 Back 가상키가 없어서 불편하십니다.
그러므로 IR리모콘의 Home키와 EXIT(Back)키를 자주 사용하시게 될 것입니다.



디스플레이에 맞는 해상도를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기본값은 1080P@60Hz입니다.  2160P@24Hz까지 지원됩니다.



오른쪽 상단 PIP화면에 방송이 보입니다. (캡춰화면에서는 방송화면이 빠져서 캡춰가 되었네요)

검색된 채널의 EPG list를 기반으로 예약 녹화가 가능합니다.



실시간 녹화(PVR) 상태 정보입니다.



EPG예약 녹화 상태 정보입니다.  반복녹화 조건 설정이 가능합니다.





** HiTVRemote 앱


구글마켓 검색어 : HiTVRemote (15.4M)





Remote TVHList  /  Mirror Controller  2가지 기능이 있습니다.

(주) 댁내에 같은 공유기에 그것셋탑과 시청하려는 스마트폰이 물려 있어야 가능합니다.
만일, 외부에서 구현하려면, 포트포워딩을 개별로 하여서 IP설정을 하여야 합니다.

Remote TVHList 는 EPG 정보를 기반으로 예약 녹화 및 현재 방송을 시청할 수 있습니다.
위에 언급한 1번의 방식 즉 방송TS 원본을 스트리밍으로 볼 수 있습니다.

Mirror Controller는 위에 언급한 2번의 화면 원격 방식입니다.

각각의 아이콘 아래에는 IP주소가 있습니다.
이는 그것 셋탑의 현재 IP주소를 의미 합니다. 




Mirror Controller를 누르면 하기와 같은 화면 또는 초기 UI화면으로 보여지게 됩니다.
이때 Remote TVHList의 View에서는 튜너 권한 설정에 대한 이슈가 있었습니다만,
여기서는 미러링이기 때문에, 그것셋탑이 메인 디스플레이에 뿌려주는 화면을
미러링으로 스마트폰에서도 동시에 보여주는 것이라서, 메인 디스플레이가 안보이지는 않게 됩니다...  콘트롤 권한은 양쪽이 모두 가졌다고 보시면 됩니다..  




화면은 한번 터치하면, 채널 리스트와 채널별 EPG정보가 보이게 됩니다. 
각각의 채널을 한번씩 눌러서 채널 콘트롤이 되는지를 확인 해 보았습니다.
재생화면에서 리턴 UI를 누르시면 빠져 나오시게 됩니다.




Mirror Controller 메인 UI중에 (...) 아이콘을 누르면
하기와 같은 여러가지 기능 옵션이 보입니다.

Home을 누리면, Home UI 모드로 들어가게 됩니다.




예약녹화를 여러가지 하였습니다만,
동시간대 예약 녹화 타이머가 충돌나는 예약이 발생시
하기와 같인 에러 메시지 화면을 보여주네요..
(저도 처음 보았습니다 ^^;;)

이상태로 있다가 그냥 놓아두면, 자동으로 어떤 것이 선택되어지는 것 같은데,
그 기준은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





2. LG GPro2 스마트폰으로 Test를 한 동영상입니다.

WiFi 5GHz 기반 Test환경입니다.

(앞서 태블릿PC Vi7과 비교하여 랙이 거의 없습니다.. 
녹화 어플이 돌고 있는데도 별로 랙이 발생되지 않고 있습니다. ^^;;
이는 스마트폰의 퍼포먼스와 WiFi의 환경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원래 스마트폰에는 Full 화면입니다만, 캡춰 어플이 스스로 로테이팅을 하면서
녹화 화면 비율을 가로 수준으로 맞춰 버리는 바람에 화면이 작게 나온 것이므로
참조 해 주시기 바랍니다.. ^^;;



원본 출처 : http://cafe.naver.com/mk802/13582




***U4 PVR셋탑 TVHeadend 스트리밍으로 PC에서 다음팟으로 시청하기



기본적으로 Kodi 15.2버젼 이상 (현재 Kodi 16 beta4)에서는 TS파일 재생이 가능해졌습니다.
그래서 Kodi의 TVHeadend HTSP Client를 이용하여 방송시청이 가능합니다.

- U4 PVR셋탑 자체에서 127.0.0.1로 설정하여 방송을 시청가능
- 다른 PC나 태블릿PC 또는 스마트폰에서 U4 PVR셋탑의 IP 주소를 등록하여 시청 가능합니다.

Kodi 이외에 U4 PVR셋탑을 TVHeadend 미들웨어로 사용하여,
PC에서 보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가 있었는데요...

아시는 분은 아시겠습니다만, 
다음팟 플레이어에서도 IPTV시청을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것셋탑의 방송을 다음팟에서도 시청 가능한지를 Test해 보았습니다.


1. 먼저 U4 PVR셋탑IP를 확인하시고,
웹브라우저에서 http://그것셋탑IP주소:9981/extjs.html? 를 입력 합니다.

하기에 보이는 UI는 U4 PVR셋탑에 내장된 TVHeadend UI 입니다.
일반적으로 리눅스 기반으로 TVHeadend 서버를 설치하거나, 시놀로지 애드온으로 설치를 하여 사용하십니다만, U4 PVR셋탑에는 TVHeadend 3.4버젼이 자체 내장이 되어 있습니다.





2. 그리고 TVHeadend 웹UI의 오른쪽 끝에 보시면, 
Watch TV라는 아이콘이 있습니다.

이것을 누르시면 하기 화면의 UI를 보실 수 있습니다.

원래 VLC 플러그인이 있으면, 이 화면에서 그것셋탑 방송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만,
최근에 구글에서 플러그인 지원 중단으로 보실 수가 없습니다.






3. 하기 Select channel..... 박스를 누르시면,
그것셋탑에 있는 채널명 list가 보입니다.





4. 채널을 하나 선택을 하시면,
하단에 2개의 링크가 생깁니다.

M3U Playlist
Direct URL 2개 입니다.

저도 정확하지는 않습니다만, 오늘 써먹을 링크는 "M3U Playlist"입니다.
그리고 "Direct URL"은 스트리밍 녹화가 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5. "M3U Playlist"를 누르시면, 하기의 3.m3u 파일이 다운로드 됩니다.





아마도 3번째 채널이라서 3.m3u로 표기되는 것 같습니다.

이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 보면,
하기와 같이 되어져 있습니다....

SBS채널이라는 표시와 함께, 그것셋탑IP;9981 ~~~~ 라는 내용입니다.

6. 다운로드 받은 3.m3u를 연결프로그램에서 
다음팟 플레이어로 연결 해서 실행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하기와 같이 MPEG TS SBS방송이 Live로 재생되어지게 됩니다. ^^
Live TV방송 시청인 것이죠 ^^




그러므로 그것셋탑의 채널 정보 m3u를 모아서, 1개의 파일로 만드시면,
다음 팟플레이어에서 채널이 만들어지고, 채널을 선택하면, 변경이 됩니다.





***U4 PVR셋탑 IPTV & CCTV 시청 지원 ***









***U4 PVR셋탑 한국 UHDTV 실험방송 시청 test***


Korea  Terrestrial UHD Broadcasting experiments  - SBS


DVB-T2기반으로 잠시동안 방송을 시청할 수 있었습니다.











U4 Quad(그것셋탑) 정식제품 판매 관련 링크

http://cafe.naver.com/mk802/14707




자세한 사항은 "EddyLab - 미니PC포럼"에서 자료를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eddylab.co.kr  /  http://cafe.naver.com/mk802




Jetson TK1


Jetson TK1 dev board


Get Started

The NVIDIA Jetson TK1 DevKit is a full-featured development kit that allows you to evaluate Tegra K1 for your embedded applications. It allows you to unleash the power of 192 CUDA cores to develop solutions in Computer Vision-enabled products in the areas of robotics, medicine, security, and automotive. Buy the Jetson TK1 DevKit below and make sure to check out the Jetson TK1 post from our Parallel Forall blog.

NVIDIA provides the BSP and software stack which includes the CUDA Toolkit, OpenGL 4.4 drivers, and support for the OpenCVlibrary for Tegra.


Jetson TK1 User Guides


Developer Resources

Here are more resources to help take your development experience to the next level.

  • Linux BSP
    • The Linux-based board support package for Jetson

  • Tegra Graphics Debugger
    • A console-grade tool that allows developers to debug and profile OpenGL ES 2.0, OpenGL ES 3.0, OpenGL ES 3.1, OpenGL 4.3 and OpenGL 4.4 enabling game and graphics developers to get the most out of Tegra K1

  • Tegra System Profiler
    • A multi-core CPU sampling profiler that provides an interactive view of captured profiling data, helping improve overall application performance

  • PerfKit
    • A comprehensive suite of performance tools to help debug and profile OpenGL and Direct3D applications.

  • CUDA
    • CUDA is a parallel computing platform and programming model invented by NVIDIA. It enables dramatic increases in computing performance by harnessing the power of the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 Jetson TK1 DevKit Development Pack (JetPack TK1)
    • All-in-one package containing:

      • Jetson TK1 DevKit L4T OS
      • Drivers
      • Tools/SDKs
      • CUDA
      • Samples/Documentation
      • Automated Development Environment Setup
  • OpenCV
    • Tegra accelerated implementation of the popular computer vision API

 

Jeston_TK1_User_Guide.pdf


https://developer.nvidia.com/get-started-jetson





2015년 11월10일 MBC 9시 뉴스에

제가 올린 샤오미 TV2S 리뷰 게시글이 포착이 되었네요 ㅎㅎㅎ


원문은 저희 미니PC포럼에 게시 되어 있는 

샤오미 TV TV2S 구매기 및 분석에 대한 게시글입니다만, 

참조로 옆집 샤오미 포럼에 올린 게시글로 소개가 되어 버렸네요... ㅎㅎㅎㅎㅎ


 

샤오미 UHDTV MiTV2S 48인치 unpacking 1

http://cafe.naver.com/mk802/11482 

 

 샤오미 UHDTV MiTV2S 48인치 unpacking 2

 http://cafe.naver.com/mk802/11483

 



[앵커의 눈] 샤오미 돌풍 이유는? 주의할 점은 없나 

 

"최근 구입한 중국산 대형 TV를 소개하는 이른바 '개봉기'가 즐비합니다.


제품을 꺼내기 편리한 포장인지에서부터 화질이나 에너지 효율성까지 꼼꼼히 따진 글과 사진 아래는 구입방법을 묻는 댓글이 이어집니다." 


동영상 링크

http://imnews.imbc.com/replay/2015/nwdesk/article/3809154_14775.html 

 

3분28초  /  4분25초 ~ 4분37초

이정도로 꽤 오랫동안 소개가 되었네요 ^^;;


소개된 방송 내용에서 찍힌 사진을 찾아서 

순서대로 올려 보면, 이렇게 되네요 ^^





 3분28초




4분25초 ~ 4분37초








근데, 게시글 작성자 본인은 모르는 상태에서 웹 게시글이 찍혀서 

방송이되고, 정작 원본 출처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어서 아쉽네요.. ^^:;


저희 네이버 미니PC 포럼의 행복한까지님 사용기 입니다... ^^



금요일날 회사에서 윈썸 받아서 현재까지 테스터 한 리뷰입니다.


1.부팅속도

  아래와 같은 화면 까지 10 ~ 20 초 정도 걸립니다.

  물론 처음 기초 설정 할때 한번 시간이 좀 걸립니다.

  (현재 N드라이버 V3말고는 부팅시 올라오는것이 없어서 상대적으로 더 빠를 수도 있습니다.)





2. 초기 부팅시 H/W 화면입니다.

  


 

   메모리도 1G가 정도 여부분이 있어서 다른 작업도 충분이 가능합니다.



3. BT 및 Wifi

  BT : Wifi 간섭 있다해서 꺼고 사용하고 있어서 패스

  Wifi: 이것 때문에 Nano Smart pc 쪽에 문의 했었죠 대부분의 중소기업 업체와 같이 A/S 별로임

         기술자가 연락준다고하고 깜깜 무소식...

        그래서 인터넷 검색 및 여기 카페 및 자가 테스터로 결론 도달..

 - Wifi 감도가 다른기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집니다. 저 같은 경우 스트리밍으로 시청을 많이 하는데요.

    현실적으로 윈썸은 내장 wifi로 스트리밍 시청은 좀 많이 끊어집니다.

    그래서 집에있는 외장 usb 무선랜카드(iptime n105ua)  달아서 해결 했습니다.

위 테스터 관련 스크린샷 첨부 합니다.


왼쪽이 내장(윈썸 wifi) 이고 오른쪽이 iptime 외장 usb 무선 랜 카드입니다.

  


 

외장 무선 랜카드 속도 측정 결과입니다.



아래는 내장 무선 랜카드 속도 측정 결과입니다.

(인터넷 및 다른 용도는 사용하기는 충분한 속도인것 같습니다.)




4.기타

  usb 포트가 하나여서 현재 usb 4port 허브 달아서  무슨 키보드 /마우스 및 1T 외장 usb 하드 달아서 사용중입니다.

 5천원정도 추가하여 구매한 무슨 키보드&마우스 가격대비 성능 좋습니다.

수신율도 좋고요.. 개적으로 마우스 모양이 게이밍이라 더 좋네요.~!!!


PS)아래 스크린샷과 같이 N드라이버 잡아 놓으면 Kodi에서 바로 인식하기때문에 여러모로 좋은것 같습니다.

     한국이라 스트리밍 시청도 거의 안끊어집니다.(물론 환경마다 다르겠지만..저 같은 경우는요)



출처 :  http://cafe.naver.com/mk802/11204




자세한 사항은 "EddyLab - 미니PC포럼"에서 자료를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eddylab.co.kr  /  http://cafe.naver.com/mk802





DiskPart로 윈도우7 부팅 가능하게 USB / HDD 만들기




UltraISO로 부팅가능한 USB 만들기

ULTRAISO로 USB를 구울수도 있지만 DISKPART를 이용해 윈도우7 설치가 가능한

USB뿐만 아니라 하드디스크까지 만들 수 있습니다.

하드에서 윈도우를 설치하려면 꼭 알아두어야하는 방법입니다.

이것은 윈도우7 환경에서 해야합니다. xp는 안됩니다.

또한 이작업은 디스크관리툴(DISKMGMT.MSC)에서 해도 동일한 효과입니다.

diskpart

list disk          용량을 보고 포맷할 하드디스크/USB 넘버 확인

select disk 1  포맷할 디스크로 포커스 이동

clean             디스크 초기화

create partiton primary    주파티션 생성(create partiton primary size=20480 파티션을 나눌경우 size추가)

select partition 1    파티션으로 포커스 이동

active             파티션 활성화

format fs=ntfs quick   ntfs포맷

assign             문자가 할당되지않았을경우 추가

이상태에서 해당 usb나 hdd에 윈도우7dvd(또는ISO)안의 내용물을 통째로 복사하고

cmos에서 해당 usb/hdd에 부팅우선순위 걸어주고 부팅하면 win7dvd를 넣은것과 동일하게 설치됩니다.

통째로 복사할때 다 할필요는 없고 bootmgr파일과 sources폴더 boot폴더만 복사하면됩니다.어차피 클린설치할것이기에

만약 새하드디스크에 이런식으로 작업해서 새하드디스크에 윈도우7을 설치할경우 설치완료후

bootmgr파일과 sources폴더 boot폴더가 여전히 있으니 그중 sources폴더만 지우면됩니다.

bootmgr파일과 boot폴더는 어차피 시스템파일로 숨겨져있으니 실수로 지우일도 없겠죠 지운다면 부팅이 불가

윈도우7 diskpart환경에서 포맷 및 활성화 했으므로

자동으로 윈7의 부트코드가 심어집니다.(nt60 mbr업데이트)

그렇기 때문에 따로 bootsect.exe로 mbr을 수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EasyDiskpart를 통해서도 쉽게 가능합니다.


http://maximer.tistory.com/325



2015년 형 아마존 Fire TV스틱PC이 출시 될 예정(루머)이라고 하네요 ^^

근데, 칩셋 Spec이 엄청 짱짱 합니다...  ^^  

1세대 아마존 Fire TV스틱PC는 전년도 칩셋을 채용하여 상대적으로 제품가격이 낮았습니다만,
이번에는 금년(2015년) 최신 칩셋을 채용하여 제품화를 진행하고 있네요..... 

뭔가 괴물 제품이 나올 듯  ????

일단, 2015년 최신 칩셋인 Rockcip RK3368을 능가 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afts


상기 CPU Spec은 2nd Fire TV 스틱은 쿼드코어 Coretex A53@1.5GHz입니다..
RK3368은 옥타코어 Coretex A53@1.5GHz..   

여기서 옥타코어는 Max 퍼포먼스로 보아서는 큰 의미가 없기 때문에 동급으로 보입니다.

수정내용 150709)  
착한유령님이 주신 미디어텍 MT8173 발표 자료에 의하면,
그냥 쿼드코어 Coretex A53이 아니고, 

 ARM Cortex®-A72 and ARM Cortex®-A53 64-bit CPU @2.4GHz

"쿼드 빅리틀 아키텍처" 이라고 합니다...  
(주) CoretexA7이 아니고 CoretexA72 입니다. ^^;; 
그리고도 2.4GHz입니다. 

설명에 의하면 빅리틀 아키텍처는 1세대 이고, 쿼드 빅리를는 2세대 라고 합니다.
“Decisively and quickly incorporating the second-generation of our 64-bit technology into a market-ready product, underscores the partnership between ARM and MediaTek."

그리고 GPU Spec입니다. 2nd Fire TV 스틱은 Power VR GX6250입니다.
RK3368은 Power VR G6110@600MHz 입니다..

PowerVR 위키에서 자료를 찾아 보면,

Series 6XE

Power VR Series 6XE GPUs were announced on January 6, 2014.[13][19]

ModelDateClustersDie Size (mm2)Config core[4]SIMD laneFillrateBus width
(bit)
HSA-featuresAPI (version)GFLOPS(@ 650 MHz)
MPolygons/s(GP/s)(GT/s)OpenGL ESOpenGLOpenCLDirect3D
















G6110Jan 20141??@28 nm?/????????3.13.21.29.0 L3?? / ??

Series 6XT[edit]

Power VR Series 6XT GPUs were unveiled on January 6, 2014.[20][21]

ModelDateClustersDie Size (mm2)Config core[4]SIMD laneFillrateBus width
(bit)
HSA-featuresAPI (version)GFLOPS(@ 650 MHz)
MPolygons/s(GP/s)(GT/s)OpenGL ESOpenGLOpenCLDirect3D
















GX6250Jan 20142??@28 nm?/????????3.13.21.210.083.2/166.4

시리즈가 6XE냐 6XT이냐 차이가 있는데, 
오히려 2nd Fire TV 스틱의 GX6250이 성능은 더 좋은 것 같아 보입니다..  ^^;;


2nd Fire TV 스틱 RAM은 1.5G입니다..  다소 부족해 보이지만,
단일 미디어랜더러 기능 만으로는 문제는 없을 듯 보입니다....

2nd Fire TV 스틱 ROM ???  대략 8G정도이겠지요... ^^
==> 원본 출처에서 확인을 해 보니, 4.8G입니다.  ^^;;;;;;;; 
(아직 제품화 이전단계라서 달라질 수 있을 것 입니다.)


대략적으로 예상을 해 보면, 
아직 4K의 완벽지원 4K@60fps, HEVC@10bit BT2020으로 넘아가지는 않고,
1080P@HEVC@10bit시장을거쳐서넘어갈것으로 예상되어 집니다.

출시 일정은 작년에 비추어 보아서 2015년 블랙프라이데이가 기점이 될 것으로 예상 됩니다...

=======================

Amazon’s next-gen Fire TV Stick may be coming soon (leaks)


The Amazon Fire TV Stick is a $39 device that you can plug into the HDMI port of your TV to stream internet video or play games. It’s a simple device that offers much of the functionality of the original Amazon Fire TV for less than half the price.

But the Fire TV Stick is also a lot slower than the Fire TV box which means it can’t play some games and lacks support for some features such as listening to audio using Bluetooth headphones.

Now it looks like Amazon may have a more powerful Fire TV Stick in the works… although it’s not clear yet how much it’ll cost or just how much more powerful it will really be.

afts

The evidence

Amazon hasn’t officially introduced the 2nd-gen Fire TV Stick yet, but a device called the Amazon AFTS just showed up in the database of graphics benchmarking tool GFXBench. AFTS could stand for Amazon Fire TV Stick.

While it’s possible the specs listed at GFXBench are wrong, or that this isn’t actually a Fire TV Stick, there are a few clues that suggest it really could be Amazon’s next media streaming device.

First up, it features WiFi and Bluetooth, but no GPS, compass, accelerometer, light sensor, camera, or SIM card. You’d expect most phones, tablets or other Android devices to have at least a few of those things.

Second, the AFTS features a MediaTek processor. While Amazon’s original Fire TV uses a Qualcomm Snapdragon 600 chip and the first-gen Fire TV Stick has a Broadcom BCM28155 processor, Amazon does use MediaTek processors for some of its most recent devices: the 4th-gen Fire HD 6 and Fire HD 7 tablets each have MTK8135 quad-core processors.

The specs

OK, so if the GFXBench listing is accurate, what can we expect from the next Fire TV Stick?

  • MediaTek MT8173 1.5 GHz quad-core processor (with 2 Cortex-A72 cores and 2 Cortex-A53 cores… although GFXBench thinks they’re all Cortex-A53 cores)
  • PowerVR GX6250 graphics
  • 1.5 GB of RAM
  • 8GB of storage (give or take)
  • Android 5.1-based operating system

That means the new model would have a higher-performance processor and more memory than the current version (which has 1GB of RAM and a dual-core, ARM Cortex-A9 processor).

It could bring Fire TV-level performance to the Fire TV Stick… although I’ll be curious to know if Amazon also plans to update the wireless hardware to add support for Bluetooth 4.0. The original Fire TV Stick only supports Bluetooth 3.0.

Both of Amazon’s current Fire TV devices also run FireOS 3.0 software, which is based on Android 4.4. Amazon recently began testing Fire OS 5, which is based on Android 5.0. But this is the first time I’ve seen any mention of an Amazon device running Android 5.1 (not counting custom ROMs).

There are some other specs listed which probably don’t mean much. GFXBench says the AFTS has a 6.9 inch, 1920 x 1080 pixel non-touch display. But it’s likely that’s just a screen the Fire TV Stick was attached to when the benchmark was running (the reason GFXBench often posts specs for products before they’re released to the public is because people working at the company might run the test on pre-production hardware).

GFXBench also thinks the original Amazon Fire TV has a 13.8 inch, 1080p display.

via WinFuture



원문 출처 : http://cafe.naver.com/mk802/10988



자세한 사항은 네이버 카페 "EddyLab - 미니PC포럼"에서 자료를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eddylab.co.kr  /  http://cafe.naver.com/mk802



앞서 하기 게시글을 올릴때도 언급을 드린 내용입니다만,

안드로이드 미니PC 비지니스 모델 구상 (?)


결국 지상파콘텐츠연합(CAP)인 푹(Pooq)에서 IPTV의 이통사와 재계약 협상을 
중단하고 말았네요 ㅠ.ㅠ

결국 Pooq에서는 자신의 컨텐츠의 역량을 믿고, 
협상테이블에서 우위를 점하려고 하는 협상전략의 일환이라고 판단됩니다..

문제는 지금부터 일반 유저의 선택에 따라서
시장이 어떻게 가게 될지가 관건이 될터인데요.......

선택 1.  그냥 모바일 기기로는 TV시청 컨텐츠는 
DMB로 본방사수를 하던지, 아니면 어둠의 경로로 토랜트 VOD를 다운로드 받아서 본다.


선택 2. 오*의 TV, 또는 올더** 어플을 이용하여 
해외 서버에 올라와 있는 방송물을 스트리밍으로 시청한다... 


선택 3. DMB 본방사수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Pooq를 신청하여 본다
실시간 TV 또는 방송VOD 등 선택적으로 구독 신청


선택 4. USB TV Tuner나 Homerun을 구입하여
TVHeadend로 본방을 모바일 기기로 시청하거나, EPG로 녹화를 하여서
NAS에 녹화한 방송물을 편하게 시청한다...


대략 4가지 시나리오가 나오게 됩니다....

1번은 모바일기기 보다는 데스트톱이나 노트북에 적합한 방법이고,
주로 2번은 이미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신 모바일에서 시청 대응방법이기도 합니다.

3번은 Pooq에서는 바라는 시나리오 입니다만, 
시청가입자 수가 팍~  늘어날지는 미지수 입니다. ^^

4번은 저희 포럼 회원님들의 희망입니다만, 
일반분들에게서는 기술적 접근이 어렵습니다. ^^;;

합법적이면서, 경제적인 방법론은 역시 4번입니다....
기존에 가지고 계신 컴에서 USB TV Tuner만 달면 되는데, 
리눅스를 설치하고, TVHeadend을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어려운 과정입니다. ^^

사실 IPTV 방송시청을 위한 TVHeadend설정보다는 더 간편하긴 합니다.
일일이 IPTV의 IP를 여러가지 방법으로 찾아내고, 이를 개별개별 설정을 해 줄 필요가 없이
Scan으로 몇개 안되는 채널만 잘 잡으면 끝나니까요 ^^


여러분은 어떤 선택을 하실 지 모르겠습니다만,
앞으로 방송은 더욱더 이러한 상황이 계속적으로 유발되어질 것 입니다.
이유는 방송쪽의 재정적 밸런스를 키워야 하는데, 방송관련 광고비는 더 이상 커지지
않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개인 유저로서는 앞으로 PVR(개인 녹화) 시스템을 구축해 가는 것이 좋다고 보여집니다.
저희포럼에서도 어떻게 하면 좀 더 쉽고 효과적으로 접근을 하실 수 있을지를
고민해 보고 있습니다만, HW가 제각각이라면 사실상 SW설치 유지 방법론만으로는
여러가지 트러블 이슈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더 많은 사용 유저들이 있으셔야 하고,
그에 따른 정보가 더 많이 움직여야지 됩니다...

아직은 제한적으로 TVHeadend를 사용하시는데 있어서, TV Tuner를 기반으로
사용하시는 분이 적기 때문에, 정보 공유도 제한적일 수 밖에는 없습니다.

그러므로, 개인적으로 시스템 구축등의 방법론으로 접근하기는 어렵다고 하시면,
좋은 미디어 재생기를 구입해서 3번으로 접근하시는 방법이 좋습니다.

개별적으로 시스템 구축을 하시고자 하시면, TV Tuner를 이용한 4번 방법론을
좀 더 쉽게 접근해 보시기 바랍니다...

====================


모바일 IPTV로 지상파 못 본다…오늘부터 서비스 중단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SK브로드밴드와 LG유플러스 이용자들은 22일부터 모바일 인터넷(IP)TV로 지상파 방송을 볼 수 없게 됐다.

업계에 따르면 SK브로드밴드와 LG유플러스는 이날부터 모바일 IPTV를 통한 KBS, MBC, SBS 등 지상파 방송 3사의 실시간 채널과 주문형비디오(VOD) 서비스를 중단했다.

이동통신 3사의 모바일IPTV는 신규가입자를 대상으로 지상파 방송 서비스를 이달 1일부터 중단하되 기존 가입자는 연말까지 서비스하기로 했으나 기존 가입자도 이날부터 모바일 IPTV를 통한 지상파 시청을 할 수 없게 됐다.

다만, KT는 지상파와의 계약조건이 달라 11월까지 모바일 IPTV를 통한 지상파 시청이 가능하다.  

이는 지상파 방송사들이 현재 1인당 1천900원인 지상파 방송 이용 대가를 3천900원으로 올려달라고 요구한 데 대해 IPTV 업체들이 거부하면서 협상이 결렬된데 따른 것이다.

양측은 그러나 지난달 유선 IPTV를 통한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의 VOD 가격을 고화질(HD)용 VOD는 1천 원에서 1천500원(인상률 50%)으로, 일반화질(SD)용 VOD는 700원에서 1천원으로(인상률 42.9%) 각각 올리는 데 합의했다. 

협회 측 관계자는 "지상파측은 인상안이 '콘텐츠 제값받기'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업계 입장에서는 받아들일 수 있는 합리적 수준이 아니라는 판단"이라며 "협상을 계속 하겠지만, 양측간 의견차가 커서 언제 합의가 될 지 미지수"라고 말했다.

출처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6/22/0200000000AKR20150622026600033.HTML

==================




출처 : http://cafe.naver.com/mk802/10770


안녕하십니까 ?  EddyLab입니다.


1) 초소형 윈도우 미니PC 스틱형 제품 (윈썸)

윈썸 = 손가락 PC(스틱형) 윈도우OS 라는 의미로 해석 해석면 됩니다.
다른 사이트에서 "윈썸(Winthumb)""안썸" 이라고 부르시는 분이 있으신데, 
발음이 좋아서 그냥 저도 윈썸(Winthumb)그렇게 부르기로 하였습니다. ^^ 



유사한 Spec의 윈도우 태블릿PC의 메인 보드 PCBA와 윈썸 PCBA를 비교한 사진입니다.



인텔 홈페이지에 컴퓨트 스틱관련으로 1차 출시 대상국에서 한국이 빠져 있다는 글을 올려 드렸었습니다만,

오늘 G마켓과 옥션에서 인텔 컴퓨트스틱 정식 사전 예약 판매 내용이 올라왔네요. ^;;  
가격은 199,000원 (무선키보드 마우스 무상 제공)이라고 합니다.

아시다시피 인텔 컴퓨트 스틱PC이 처음 만든 제품은 아니고, 
중국 Meegopad사에서 먼저 스틱PC T01을 출시하고, 유사제품이 2~3가지 제품이 있습니다.

이후 인텔이 CES2015에서 컴퓨트 스틱PC를 발표하고, 
매스미디어에 많은 관심을 받게 되어서 빠른 출시를 준비하였습니다.
기본적으로 인텔 컴퓨트 스틱PC은 Meegopad T01과 동일한 Spec입니다만,
인텔 컴퓨트 스틱PC는 내장 Fan이 달려져 있습니다.

일본발 기사에 의하면, SW에 문제가 있어서 출하 직전에 패치SW를 따로 준비하느라 출하가 늦어졌고,이미 출하 준비가 완료된 제품의 경우는 별도로 패치SW를 USB메모리로 제공하기로 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역시 레퍼런스의 위엄이 있기 때문에 HW안정성에 대해서는 
기대가 많습니다... ^^,


저는 미국에 인텔 컴퓨트 스틱PC 우분트 버젼(RAM1G, ROM8G)을 주문하였지만,
아직까지 제품 배송일정이 애매한 상태네요..  6월초라는 메시지만 뜨고 있습니다.ㅠ.ㅠ


이후 Meego(미고)패드사에서는 T01기반으로 듀얼부팅이 가능한 제품을 출시합니다.
듀얼부팅이라함은 윈도우8.1과 안드로이드 4.4.4를 선택 부팅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문제는 듀얼부팅 제품의 경우 windows 8.1 with Bing 라이센스를 붙일 수 없다고 합니다. 

그리고, 추가로 인텔 컴퓨트스틱과 유사한 디자인으로 후속모델T02를 출시하였습니다.



기본적으로 T01과 Spec차이는 없고, 일반USB포트가 2개로 늘어나고, 
마이크로 USB포트는 1개로 줄었습니다. 그리고, 오디오 잭이 추가 되어졌습니다.

제품 외형적으로 전면 후면에 벤틀리 홀을 추가하여, 공기의 흐름을 좀 더 원할하게
함으로써 방열이 좀 더 잘 되도록 하였습니다.

현재 Meego패드사의 주장에 의하면, 인텔사에서 T02제품을 한시적으로 구입해 갔다고 합니다. ^^;;  믿거나 말거나지만, Intel 메인제품으로 판매목적이 아니라 컴퓨트 스틱 대체 공급제품으로 대량구입을 해 갔다고 합니다. 
그리고, 우분투 버젼의 경우, 언어별 등으로 커스텀화 OS 설치 install문제가 발생되어서, intel에 자문을 구하고  있는 중이며, 당장은 공급이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동일한 문제를 intel사도 가지고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제가 주문한 우분투 버젼이 아직 출하 전 상태라서 그냥 그러려니 듣고 있습니다. ^^;;

윈썸T02는 현재 싱글 부팅 RAM32G제품만 출시 중이라고 합니다.
이후에 듀얼 부팅 RAM32G제품을 따로 출시 예정이라고 합니다.

재미있는 점은 T02 RAM64G이 있다고 합니다.
이 제품은 일반 온라인에는 판매를 하지 않고, BtoB용으로만 판매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중국 온라인에서는 이 T02 RAM64G를 따로 구입 할 수가 없다고 합니다.

저도 다음주에 T02 RAM32G 싱글 제품 Sample이 입수되고,
방열Test위주로 Test를 해 볼 예정입니다.  
T01과 비교하여 방열이 조금이라도 좋아졌는지에 대한 Test입니다.

이후에 결과에 따라서 RAM64G 제품을 준비가능할지 확인 할 예정입니다.. ^^
(듀얼부팅이 가능한 제품이 수배될지는 업체 사정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에 확실하지는 않습니다.)


인텔 컴퓨트 스틱 관련 국내외 기사 list


1) 인텔 컴퓨트 스틱, 다음달 2일 국내 정식 출시

http://www.cnet.co.kr/view/100138087?utm_source=twitterfeed&utm_medium=twitter

2) 리뷰| 150달러짜리 윈도우 엄지PC '인텔 컴퓨트스틱'

http://www.ciokorea.com/news/24999


3) 인텔스틱후기 인텔 컴퓨트 스틱 Intel Compute Stick 리뷰

http://cdmanii.com/4712



4) Intel Compute Stick mini-computer (with Windows) review




5) Intel 기반 초소형 미니PC 제품 리뷰 - 윈도우셋탑, 윈썸 (윈도우, 안드로이드, 리눅스 부팅 가능)

http://muritzy.tistory.com/874



출처 : http://cafe.naver.com/mk802/10550





자세한 사항은 "EddyLab - 미니PC포럼"에서 자료를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eddylab.co.kr  /  http://cafe.naver.com/mk802






wget http://comta.kr/debian7/firfox.png

wget http://comta.kr/debian7/system-file-manager.png


=================================


국내에도 ‘크런치뱅 리눅스‘처럼 오픈박스 창관리자와 Tint2 패널로 가벼운 리눅스 데스크탑 환경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간혹 보이기는 하지만, 그에 비해 Tint2 패널의 ‘런쳐(Launcher)’ 기능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것 같습니다. 오늘 강좌는 Tint2 패널 설정의 마지막 강으로 런쳐 기능을 활성화시켜 보기로 하겠습니다.
0830-01-LauncherTint2 패널의 런쳐에는 가장 빈번히 사용하는 ‘파일관리자’와 ‘터미널’, ‘웹브라우저’만 시범적으로 설정하겠습니다.


0830-02-icon_download

wget http://comta.kr/debian7/firfox.png

wget http://comta.kr/debian7/system-file-manager.png


우선 런쳐에서 사용할 아이콘 파일을 준비합니다. ‘터미널’ 아이콘은 내 리눅스 머신에 이미 있으니, 파이어폭스’ 아이콘과 ‘PCManFM’의 아이콘만 준비하시면 될 듯 하군요.

0830-03-Cut_icon준비한 아이콘을 ‘잘라내기’해서,
0830-04-Paste_icon/usr/share/pixmaps’ 폴더에 ‘붙여넣기’ 합니다.

 

0830-05-tint2rc_setttingTint2 패널의 설정 파일텍스트 편집기로 엽니다.

# Panel’ 항목 바로 밑에다 ‘panel_items = LTSC’라고 입력해 줍니다.
Launchers’, ‘Taskbar’, ‘System Tray’, ‘Clock’ 순으로 패널에 띄우라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이번 강좌의 핵심인 ‘# Launchers’ 항목을 위 스크린샷 대로 새로 추가합니다.

# Launchers
launcher_background_id = 0
launcher_icon_size = 24
launcher_padding = 8 2 7
launcher_item_app = /usr/share/applications/pcmanfm.desktop
launcher_item_app = /usr/share/applications/lxterminal.desktop
launcher_item_app = /usr/share/applications/firefox.desktop

 

0830-06-autostart

nitrogen --restore &

idesk &

volumeicon &

tint2 &


이제 Tint2 패널도 오픈박스 창관리자 시작 시에 자동으로 로딩되도록 작업해 줍니다.


출처

http://comta.kr/?p=14961



사운드카드의 음량을 조절하는 볼륨 아이콘을 추가


apt-get install volumeicon-alsa

volumeicon


메뉴가 나타납니다. ‘기본 설정(P)’으로 들어갑니다.



Channel’에서는 조절하려는 음량 항목을 선택합니다. 

메인 볼륨 채널을 선택하는 편이 가장 나을 겁니다.

External mixer’의 값이 ‘xterm’으로 연결되어 있네요. 

강좌에서는 터미널로 ‘LXTerminal’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lxterminal’로 바꿔줍니다. 

믹서 프로그램으로 ‘alsamixer’ 외에 다른 믹서를 사용하고 있다면 세부값도 그에 맞게 변경


볼륨 아이콘도 오픈박스 창관리자 시작 시에 자동으로 로딩되도록 작업해 줍니다.


======================

0823-01-system_tray현재 Tint2 패널의 시스템 트레이 부분에는 한영전환 상태를 나타내는 키보드 아이콘 하나 밖에 없습니다. 여기에 사운드카드의 음량을 조절하는 볼륨 아이콘을 추가하겠습니다.

 

0823-02-install_volumeicon
apt-get install volumeicon-alsa

# volumeicon


여지껏 그래왔듯, 패키지를 설치하고 실행시켜 줍니다.

 

볼륨 아이콘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0823-03-tray_setting메뉴가 나타납니다. ‘기본 설정(P)’으로 들어갑니다.

 

0823-04-volumeicon_settingChannel’에서는 조절하려는 음량 항목을 선택합니다. 

메인 볼륨 채널을 선택하는 편이 가장 나을 겁니다.

External mixer’의 값이 ‘xterm’으로 연결되어 있네요. 

강좌에서는 터미널로 ‘LXTerminal’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lxterminal’로 바꿔줍니다. 

믹서 프로그램으로 ‘alsamixer’ 외에 다른 믹서를 사용하고 있다면 세부값도 그에 맞게 변경해주어야겠죠.

 

0823-05-Hotkeys하단의 ‘Hotkeys’ 항목에서는 Volume Up, Volume Down, Mute 단축키도 편한대로 설정합니다.

0823-06-volumeicon_notifications키설정을 마쳐두면 키보드로 볼륨을 조절할 수 있으니 편해지죠.

 

0823-07-autostart볼륨 아이콘오픈박스 창관리자 시작 시에 자동으로 로딩되도록 작업해 줍니다.


출처

http://comta.kr/?p=14809

+ Recent posts